마케터 라니의 개인 기록

[마케팅 스터디 3-4회차] 사용자 관점의 데이터 분석

라니(Rhani) 2024. 10. 20. 18:02

2회차 스터디 회고에서 담당한 제품/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사용하게끔 하여 사용자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제품/서비스를 개선하는 마케터가 되고 싶다고 썼다. 그런 마케터는 가만히 피드백을 수집하는 역량보다도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가설과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역량이 필요하다.

   * 2회차 스터디 회고 : https://marketer-rhani.tistory.com/6

 

[마케팅 스터디 2회차] 어떤 마케터가 되고 싶나요?

마케팅 스터디 2회차 주제는 [마케터 커리어패스] 였다. 1회차 스터디에서 마케팅이란 무엇일까를 정의한 뒤, 나는 어떤 마케터가 되고 싶은가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나 자신의 커리어패스에 대

marketer-rhani.tistory.com

 

질문 1: 데이터 분석이란 무엇일까? 왜 하는 것일까? 실행을 위해서!

나는 이 질문을 처음 받고 사용자가 자사의 서비스/제품을 구매/설치 등(전환)할 수 있는 행동 유도 제안을 하기 위해 앱/웹에서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는 것이라고 응답했다.

아마존에서는 원시 데이터를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로 변환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스터디원들은 성장/개선/전환 시킬 수 있는 실행 방법을 찾기 위해, 마케팅 성과를 더 명확하게(더 적은 리소스로 더 나은 성과를 도출) 하기 위해 등의 응답이 있었다.

 

내 대답과 아마존의 정의는 방향성이 다르다. 나는 마케터의 관점으로 접근했고, 아마존은 빅데이터 기술을 가진 데이터 회사의 관점으로 정의했다고 생각한다. 나는 마케터로써 실행을 하기 위해 데이터를 분석한다. 사람들이 언제를 기점으로 방문자 수가 줄었는지, 이벤트를 진행했을 때 어느 정도로 방문자 수가 늘었는지 등을 보기 위해 데이터를 본다. 아마존은 아무래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얻고 실행 방안을 찾는 프로세스로 제안하는 듯 하다. 

방향이 무엇이 되었든 상관없다. 어떤 방향의 정의이든 데이터 분석을 하면 실행해야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질문 2 : 데이터 분석의 핵심은 무엇일까? 사용자!

위 질문에 대답 전에 먼저 선행되어야하는 단계들이 있다. 마케터의 실행적 관점으로 봤을 때 아래 단계들이 필요하다.

   - 정량적 수치로 나타나는 목표를 정하기 → 목표를 실행할 방법 찾기 → 목표 납기 정하기

다만 정량적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목표를 정하는 것도 데이터 분석이 필요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의 세가지 핵심은 웹/앱의 사용자 행동을 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로 분석하는 것이다.

  • 사용자 유입 경로 : 어떤 유입경로로 방문하는가?
  • 사용자 정의 : 어떤 사용자가 방문하는가? (인구통계적 특성 등)
  • 사용자 행동 : 앱/웹 내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하는가?

결국 사용자, 즉 우리의 고객이 누구이며 왜 우리를 이용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질문 3: 비즈니스모델에서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나는 제품/서비스라고 응답했는데, 결국 스터디에서 얘기한 내용은 3C(Company, Competitor, Customer)였다.

우리가 속해있는 시장 현황, 자사의 제품/서비스, 그리고 경쟁사가 중요하다. 이 세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고객이기 때문에 우리는 항상 세 가지 요소를 모두 모니터링 해야한다.

 

질문 4 : 비즈니스모델 관점에서 어떤 항목을 어떻게 개선해야 I사의 페이지 유입이 낮아진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우리가 토의했던 I사는 교육 비즈니스 산업 내의 서비스이다.)

- 시장 현황 :  교육 비즈니스 산업 자체의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에듀테크 기술의 적용은 차치하고, 개인화, 상호소통 등의 시장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가 필요하다.

- 경쟁사 : C사, S사 등 같은 산업 내 경쟁사들이 어떤 위치인지 파악해야한다. 한참 뜨다가 인기가 시들해진 경쟁사의 원인은 무엇인지 파악하고 자사는 해당사항이 없는지를 반추해보아야한다.

- 제품 : 소비자가 제품/서비스의 고객들이 어떤 지점에서 구매를 하는지, 어떤 지점에서 이탈하는지 등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고 더 나은 프로세스를 최적화해야 한다. 페이지 개선(썸네일 가이드라인의 정비, 상세페이지 항목 구성), 가격 정책의 가이드라인 (구매 타겟별로 강의 가격의 최저/최상 등), CRM 시스템 등이 있을 것이다.

 

질문 5: 마케팅 퍼널 분석을 왜 해야할까?

 마케팅 퍼널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행동(제품/서비스를 어떻게 접하고 사용하는지)를 분석해야 제품/서비스를 개선함으로써 지속하여 이윤 창출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는 다음 스터디 회차에서 퍼널 분석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다음 회고에서 계속....)

 

 

 

3~4회차 스터디를 참여하면서 내가 너무 고착화된 생각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에 대한 반성을 하게 되었다. 항상 정답만을 찾으려다보니 이렇게 다양한 방법을 찾을 수 있는 질문에도 한가지 방향의 정답만 생각하고 있었다. 다양한 관점으로 생각하는 연습을 해야겠다.